전체 글485 자바 정규표현식 기술 정리 https://adjh54.tistory.com/104#1.%20%EC%A0%95%EA%B7%9C%ED%91%9C%ED%98%84%EC%8B%9D%20%ED%8C%A8%ED%84%B4(Regular%20Expression%20Pattern)-1 [Java] 정규표현식(RegExp) 이해하기 : 패턴, 문자 클래스, 자주 사용 패턴 해당 글의 목적은 주요 정규식 조작함수를 이해하고 예제를 통한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한 글입니다. 해당 글에서는 모든 함수에 대해서는 포함하고 있지 않으며 자주 사용되는 함수 위주로 작 adjh54.tistory.com 너무 정리가 잘된 블로그가있어 공유해본다. 2024. 1. 4. 서비스와 솔루션의 차이점이 무엇일까? 서비스, 솔루션.. IT 업계에서 주로 사용되는 표현이며, 비슷해 보이지만 이름이 다른것을 보면 다른점이 있지 않을까 생각 합니다. 가끔 저도 해깔리기도 해서 이번기회에 한번 정리 해보려 합니다. 어떤건 솔루션이고 어떤건 서비스 일까요? 솔루션이라는 단어 자체가 포괄적인 개념이라 정확히 정의하기가 쉽지 않은 것 같으며, 서비스 또한 그런 느낌입니다. 1. 솔루션이란, 사전적 의미로는 어떤 특정한 상황에 대한 해결책으로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프로그램과 관련된 문제들을 처리해주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기술 등을 가리킵니다. 보통 제품/서비스를 효과적으로 결합, 제공하여 문제를 해결하며 기업의 리소스 효율화, 수익 증대, 리스크 관리 향상에 그 목적이 있습니다. 참고 주로 솔루션은 기업이나 단체 또는 개인이.. 2023. 12. 31. [Java] HashMap Hashtable 차이점, 구분하기 1. Hash란? 해시(Hash)란 단방향 암호화 기법인 해시함수(HashFunction)을 이용하여 생성된 고정된 길이의 비트열을 의미합니다. Hash function, 해시 함수 (짧게는 해시 라고도 부름)는 임의의 길이를 갖는 임의의 데이터를 고정된 길이의 데이터로 매핑하는 단방향 함수를 의미합니다. 다른말로 표현하자면, 아무리 큰 숫자를 넣더라도 정해진 크기의 숫자가 나오는 함수입니다. 예를 들면 어떤 숫자를 10으로 나누었을 때 그 나머지를 구하는 함수도 해시 함수입니다. (나머지가 0~9 까지 한자리의 크기로 출력되기 때문) 이러한 해시 함수를 적용하여 나온 고정된 길이의 값을 해시값, 해시 코드, 해시섬(sum) 등으로 부릅니다. 해시 함수는 보통 입력의 범위(정의역)보다 출력값의 범위(치역.. 2023. 12. 30. [SAP] SAP FI 모듈이 무엇인가? 채용공고를 둘러보다가 SAP FI 라는 키워드를 접하게 되었습니다. 이게 무슨 키워드인지 이해하기 위해 SAP라는 것을 먼저 알아보게 되었습니다. SAP(Systems, Applications, and Products in Data Processing)는 기업용 소프트웨어 솔루션을 제공하는 독일의 기업입니다. SAP는 다양한 업계에서 사용하며 SAP에서 제공하는 프로그램을 SAP 이라고 부르기도 하는걸로 이해했습니다. https://www.sap.com/korea/index.html SAP에서 제공하는 모듈들이 여러가지 있는데, 그중에서 FI (Financial Accounting) 라는 모듈을 다루는 분야를 SAP FI 라고 부르는 것으로 이해했습니다. FI 말고도 여러 솔루션(모듈)들이 있으며 이를 .. 2023. 12. 28. [java] jar빌드 및 실행(Gradle) JAR (Java Archive) 형식으로 자바 프로젝트, 또는 스프링 부트 프로젝트를 만들었을 때 실행하기 위한 jar 파일로 빌드해야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크게 두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1-1. IDE 프로그램(intellij나)를 통해서 jar로 만드는 방법 1-2. IDE 프로그램(intellij나)를 통해서 jar로 만드는 방법 2. Command로 jar로 만드는 방법(별도 빌드도구가 설치되어 환경변수로 참조 할 수 있도록 등록되어 있어야합니다.) 3. jar 실행(리눅스나 윈도우에서 jar을 실행합니다. spring boot일 경우 tomcat이 내장되어 있어 설정된 포트로 실행 후 확인이 용이합니다.) 1-1 intelliJ IntelliJ IDE 를 사용할 경우 우측 Gradle 항목을.. 2023. 12. 26. 웹후크 란 무엇인가? 자격증을 공부하다가 웹후크 라는 단어를 접하게 되었다. 이게 무엇인가? 웹 후크는 한 컴퓨터 시스템이 다른 컴퓨터 시스템에 이벤트가 발생했음을 알리는 데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을 말한다. 웹 후크는 HTTP, JSON 같은 표준 웹 기술을 사용하며, API로도 가능하다. Tableau같은 경우는 후크를 사용하여 이벤트 알림을 구독할 수 있으며. 그러면 관련 이벤트가 트리거될 때 HTTP POST 알림이 선택한 URL에 전송된다. GIT 이나 여러 다른 사이트에서도 웹후크 기능을 제공하니 이런게 있다는 것 정도만 알아두자. https://www.tableau.com/ko-kr/developer/tools/webhook-api https://docs.github.com/ko/webhooks/using-web.. 2023. 12. 12. 메트릭(Metric)이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화하는 데이터를 의미한다. 메모리 사용률, CPU 사용률, 스레드 사용률 등등.. 시간에 따른 추이를 추적할 가치가 있는 데이터를 메트릭(Metric)이라 부른다. 메트릭 수집은 마이크로미터(MicroMeter) 모듈이 담당하는데, 이는 엑츄에이터 안에 내장되어 있다 2023. 12. 8. 면접준비 접근 지정자 (private, public, protected, default) 출처: https://luyin.tistory.com/232 [Luyin:티스토리] 배열(Array)과 ArrayList의 차이점 https://dev-coco.tistory.com/15 interface와 abstract class 차이점 https://4legs-study.tistory.com/158 다형성 (Polymorphism) https://4legs-study.tistory.com/150 포럼 https://www.workingus.com/forums/forum/forum/ 2023. 12. 8. kafak 역할 공부, 링크공유 https://velog.io/@holicme7/Apache-Kafka-%EC%B9%B4%ED%94%84%EC%B9%B4%EB%9E%80-%EB%AC%B4%EC%97%87%EC%9D%B8%EA%B0%80 2023. 12. 8. 이전 1 ··· 7 8 9 10 11 12 13 ··· 5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