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기술/CS(ComputerScience)37 [용어] AS-IS, TO-BE 프로젝트를 하다가 AS-IS, TO-BE 라는 용어를 접했는데, 처음 본다면 뜻이 어느정도 유추만 될 뿐, 무엇인지 제대로 잘 모르는 경우가 있다. 이 때문에 정리해본다. [AS-IS] 지금 현재, 현재 프로젝트, 현재 업무 프로세스를 통틀어 나타내는 말이다. [TO-BE] 이후 바뀔 프로젝트, 바뀔 프로세스를 통틀어 나타내는 말이다. AS-IS 분석, 프로세스 목록, 인터페이스 리스트 등 다양하게 붙여 사용한다. 2023. 3. 22. SOA, EAI, ESB 개념 정리 SOA (Service Oriented Architecture, 서비스 지향 아키텍처) 대규모 컴퓨터 시스템을 구축할 때의 개념으로 업무상에 일처리에 해당하는 소프트웨어 기능을 서비스로 판단하여 그 서비스를 네트워크상에 연동하여 시스템 전체를 구축해 나가는 방법론이다. 업무 처리 변화를 시스템에 빠르게 반영하고자 하기 위해 기업의 전반적인 정보 시스템을 서비스 단위로 구축해 다른 서비스와 연동 · 통합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 구조를 말한다. 1996년에 가트너가 처음 소개한 개념으로, 기업의 IT 시스템을 비즈니스에 맞춰 유연하게 사용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인프라를 구축하는 방법론 가운데 하나로, 정보 시스템 구축 방식에 일정한 규칙을 두고 공유하거나 다시 사용할 수 있는 서비스를 만드는 플랫폼 기술.. 2023. 3. 21. 미들웨어란 무엇일까? 소프트웨어/시스템 - 소프트웨어/시스템 사이에 있으면 미들웨어라고 생각하면 된다. 즉 시스템 간의 통신, 데이터 관리를 위한 중간 장치라고 보면 된다. 미들웨어의 기능은 다음과 같다. - 표준화된 인터페이스 제공 - 다양한 환경 지원, 체계가 다른 업무와 연동 가능 - 분산된 시스템의 업무를 동시에 처리 가능 - 부하의 분산 가능 통신 방식에 따른 분류 ◼︎ RPC(Remote Procedure Call: 원격 프로시저 호출) 클라이언트가 원격에서 동작하는 프로시저를 호출하는 시스템으로 동기 또는 비동기 지원하는 미들웨어 별도의 원격 제어를 위한 코딩 없이 원격지에 있는 함수나 프로시저를 실행 할 수 있게 하는 프로세스간의 통신 기술 호출하는 프로그램과 호출되어지는 프로그램간 통신시에 2개 이상의 트랜잭.. 2023. 3. 21. GTK (Xwindow 프레임워크) 리눅스에서는 CLI 환경 뿐만 아니라 GUI 환경도 지원한다. 여기서 GUI 환경은 GTK(김프 툴킷, Gimp ToolKit) 프레임워크 기반으로 만들어 진 것이 대표적이다. 리눅스에서 GUI를 다루기 위한 가장 대표적인 라이브러리 중 하나이며. 대표적으로 최근 우분투에서 기본으로 채택한 Gnome 데스크탑 환경이 GTK로 만들어졌다. 그 외에도 텍스트 에디터 Gedit, IDE builder, 웹 브라우저 Web(구 epiphany), midori 등 수많은 프로그램이 GTK에 기반하고 있다. GTK는 수많은 GUI 라이브러리 중에서도 다음과 같은 굉장히 독특한 특징들을 가지고 있다. - GTK는 C로 구현된 객체지향 GUI 라이브러리이다. GUI 프로그래밍은 윈도우, 버튼, 메뉴바 등 수많은 객체들.. 2022. 11. 27. 메타 OS란? 운영체제, OS는 많이 들어봤는데, 메타OS에 대한 내용은 거의 못들어 봤다. 일반적으로는 필요하지 않으나 오픈스택이나 RearTimeOS 에서 사용된다고 한다. META OS란? OS위에서 별도의 시스템으로써 별도의 동작을 위해 실행되는 것이다. 윈도우에 VMware설치해서 가상머신 돌리는 것도 메타 OS이다. 예시 RTOS, threadX 등 2022. 11. 27. 파일시스템 이란? 데이터를 디스크에 할당하는 단위 2022. 11. 27. 컴퓨터 구조지식(CISC, RISC) 시스크 리스크 RISC는 CISC와 어떤 차이가 있을까? 기존 CISC는 필요한 모든 명령어 셋을 갖추도록 설계된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용어로, 요구되는 능력을 가장 효율적인 방법으로 제공한다. 이는 하나의 명령어당 최대한 많은 작업을 하게하는 것이고, 적은 수의 명령어로 많은 일을 할 수 있어 프로그램 작성하기도 쉽고 컴파일러의 코드 생성도 쉽다. 그런데 이런 명령어들 중 불과 20%정도가 80%일을 처리한다.(EX IBM) 대부분의 Complier 제작사들이 CISC의 Instruction Set들을 잘 사용하지 않는다. 여기서 말하는 Instrution Set는 하드웨어가 직접 해독.실행이 가능한 명령어 집합을 말한다. 그래서 복잡한 나머지 80%명령어를 제거하여 사용빈도가 높은 명령어 위주로 20%의 명령어를 H/.. 2022. 11. 27. ARM 칩이란? 서버를 만들거나 CPU를 고를 때 ARM 이란 단어를 본적이 있을 것이다. ARM CPU를 이야기 하는데, 일반적인 CPU와는 다른 종류의 칩셋으로 드라이버 설치시에도 구분해서 설치해야 한다. ARM 칩에 대해 정리하는 이유는, 앞으로 주목받는 기술이 될 수 있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4차 산업중 하나인 IOT에서 자주 사용되는 cpu이기도 한데 이는 저전력으로 기동이 가능하다는 큰 장점이 있기 때문이다. 현재 기술의 발전으로 서버에서 사용할 수 있을 정도로 성능이 올라온 상태이며, 기존의 cpu에 버금가는 ARM CPU도 나왔기에 알아두면 좋을 것 같다. 가장 큰 장점은 저전력이다. 전력대비 고성능을 낼 수 있으며, 저전력이다보니 발열이 강하지 않다. 때문에 휴대용기기, 노트북의 CPU로도 채택되어 사.. 2022. 11. 27. 데이터센터의 3요소 데이터센터를 운영하는데 필요한 것은 어떤게 있을까? 이는 중요한 기술이다. 데이터센터를 설계/운영하는 기술도 상당히 중요한 기술로 다뤄지기에 이를 숨기려는 경향이 있다. 쉽게 알 수 없는 기술이라는 것이다. 유일하게 페이스북에서 독자적으로 데이터센터를 만들고 해댱 기술을 웹사이트에 공개해 많은 참고가 되고 있다고 한다. www.opencompute.org Open Compute Project www.opencompute.org 데이터센터를 짓는데 상당한 비용이 든다고 하는데, 이에 대한 정보도 여기서 알았다. 아무튼 데이터센터의 구성요소 3가지를 정리해보면 다음과 같다. 건물, 랙, 서버 데이터센터를 구축하는데는 어떤게 필요할까? 전력(냉각), 통신, 교통(인력) 2022. 11. 27. bottleneck(바틀넥) 현상이란? bottleneck(바틀넥) 병목현상을 말함. 네트워크의 부하가 심할때를 일컷는 말이며, 해결책으로 load balancer를 사용함. 2022. 11. 27. 호스팅 서비스/클라우드 서비스 의 비교 얼핏 보면 물리적인 머신 없이 Computer 자원을 이용하는 것이라고 하면 호스팅 서비스나 클라우드 서비스나 같다. 그러나 요즘 클라우드가 대세가 되어가다보니 호스팅 서비스가 점점 잊혀져 가는 느낌이다. 이 두가지 서비스의 차이점에 대해 정리해 두면 좋을 것 같아 글을 남겨본다. 호스팅 서비스(VM) 지정된 기간만큼 정해진 자원을 대여하는 서비스 정액제, 선결제 자원의 실시간 증액이 불가능 클라우드 서비스(VM) 원하는 자원을 실시간으로 생성, 이용 가능 사용량만큼 결제, 후불 유연성, 비쌈 2022. 11. 27. 네트워크, 인터넷이란? 요즘 흔히 사용하는 인터넷. 쉽게 사용할 수 있다보니 인터넷의 정의에 대해선 무덤덤 해지곤한다. 이를 위해 정리해 보려한다. 인터넷의 사전적 정의는 inter+net (network와 network를 연결한 것)이다. 네트워크와 네트워크를 연결한 것?, 즉 다른 네트워크와 연결할 수 있다는 뜻인데, 이게 무슨 소릴까? 외부 네트워크의 미디어(모뎀, 통신카드, 케이블 등)가 달라도 통신이 가능하도록 통신규약에 맞춰 네트워크를 구성한다. (TCP/IP) 광대하게 범위를 넓혀 세계의 모든 네트워크까지 연결할 수 있으며 결국 외부 네트워크의 서비스(소프트웨어)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외부 공간의 소프트웨어를 사용할 수 있는 공간이 인터넷(internet)라고 한다. 2022. 11. 27. 이전 1 2 3 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