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485 아파치 톰캣 연동작업시 오류/ 403 404 503 에러 잡기 연동작업 후 테스트를 진행하는데 생기는 오류들 해결방법 정리해봤다! 테스트 작업 하는데 권한없다고 403에러 뜨는경우! - Directory 태그에 활성화된부분 내에서 DocumentRoot를 지정 안한 경우, httpd.conf에 2021. 8. 8. 아파치 톰캣 연동하기 웹페이지는 동적 data와 정적 data가 존재한다. 톰캣은 WAS서버이지만 WEB서버의 기능도 갖추고 있다. 하지만 톰캣의 웹서버기능은 아파치 웹서버보다 느린 처리속도를 보였고, 웹의 모든 정적/동적 데이터를 모두 WAS가 처리한다면 결과적으로 사용자의 요청의 응답이 느려지게 될 것이다. 때문에 정적 데이터는 웹서버인 아파치가 처리하고 동적 데이터는 와스인 톰캣이 처리함으로써 서버의 전체적인 부하를 분산하고 속도를 빠르게 하기 위해 연동을 해서 사용하는 것이다. 지금은 톰캣이 많이 발전해서 톰캣의 웹서버가 아파치에 뒤쳐지지 않을만큼의 기능을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연동하는 이유는 아파치내에서만 설정할 수 있는 부분이라던가, 아파치에서 제공하는 유용한 모듈을 톰캣에서는 사용할수 없는 부분 등의 이유가 .. 2021. 8. 7. tomcat war 파일로 웹프로젝트 실행하기 기존에 웹프로젝트 작업에서는 모든 소스파일을 하나씩 전부 서버로 옮겨서 웹을 작동시켰다. 다른 프로젝트와는 달리 maven 기반의 spring 프로젝트를 리눅스안의 tomcat으로 실행하려하니 어떻게 해야하는지 감이 잘 잡히지 않았다. 일반적인 jsp 프로젝트나 php프로젝트 업로드 할 때와는 다르게 mvc구조로 이루어진 구조를 가지다보니 소스 분포가 넓어지고 각각 기능에 대한 경로를 다 지정해주는 방법이 tomcat에 있는지는 찾아봐야한다. 그러나 이런 번거로운 방법을 거치지 않고 프로젝트를 war파일로 추출하여 톰캣으로 실행하면 간단히 웹 프로젝트를 실행 가능하다는 것을 알았다. 1. 이클립스에서 프로젝트 자체를 war로 추출한다. 2. server.xml 설정 변경 war 파일을 어디다가 넣을지 지.. 2021. 8. 6. tomcat에서 appBase 설정, 웹 파일 위치 설정 tomcat으로 웹 프로젝트를 실행할 때 웹 파일이 담겨질 위치를 정할 수 있다. tomcat 안의 webapps 폴더에있는 ROOT 가 기본적인 웹 파일 경로로 지정되어있으며 처음으로 톰캣 실행 해보면 ROOT경로의 파일이 열린다. 그러나 원하는 경로로 설정하여 웹파일을 관리해야 하는 경우가 대부분이기에 설정파일을 변경해 수행 할 수 있다. conf 내의 server.xml 파일을 수정해야 한다. server.xml 을 열어보면 Host 태그의 appBase 부분을 주목하자. 기본설정으로 webapps라고 되어있다. 이 덕분에 tomcat 폴더의 webapps라는 폴더가 경로로 사용되는 것이다. 태그 내에는 로그를 관리하는 태그 뿐인데, 실행되는 웹 파일은 webapps의 ROOT폴더이다. 이는 별도의.. 2021. 8. 6. centos7 리눅스 자바 수동 설치하기 open jdk 설치도 가능하다만 원하는 버전을 다운로드받아 수동으로 설치하고 싶은 경우도 있다. yum을 이용해 openjdk 설치 및 적용은 아래 글을 참조 https://teck10.tistory.com/107?category=624860 centos 7.5 java 설치하기 jdk 1.8.0 을 설치하려한다. jsp 환경과 spring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서다. CentOS 7.5에서 java jdk 설치하기 1. 설치가능한 jdk 버전 확인하기 1 yum list java*jdk-devel 위는 설치가 완료된 상태에서 확인.. teck10.tistory.com 여기선 직접 jdk를 공식 사이트에서 다운로드받아 수동으로 설치 및 적용하는 방법을 기재하고자 한다. 1. jdk 다운로드 오라클 사이트.. 2021. 8. 5. centos 6버전과 7버전 명령어 비교 centos 6버전부터 리눅스를 시작했는데, 그러다보니 service 와 systemctl 이 해깔리는 경우가 가끔씩 있다. 개발 작업을 하다가 가끔씩 리눅스를 쓰다보면 해깔린다. 명령어의 인자의 순서가 보통 그렇다. 그러니 사용법을 아예 비교해보자 기능 centos 6 service centos 7 systemctl 시작 service 서비스이름 start systemctl start 서비스이름 systemctl start 서비스이름.service (.service 제거 가능) 종료 service 서비스이름 stop systemctl stop 서비스이름 재시작 service 서비스이름 restart systemctl restart 서비스이름 재시작(서비스 구동중일경우) service 서비스이름 cond.. 2021. 8. 4. centos 7 시간 동기화 ntp로 적절한 시간 맞추기 서버내에 동작하는 시간을 국내 시간과 동기화 할것이다. 이 작업을 통해 서비스를 작동시키는데 있어서 시간 오차가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ntpd를 통해 시간 동기화 작업을 수행할 것이다. 1. yum update yum의 패키지 최신버전으로 업데이트하기 # yum update -y 2. ntpd 설치 # yum install ntp 3. ntp 설정 변경 # vi /etc/ntp.conf 사진처럼 server의 주소를 변경해주면 된다. 원하는 주소로 변경해도 상관없다. kr.pool.ntp.org pool.ntp.org에서 제공하는 서버 time.google.com google에서 제공하는 서버 time.bora.net LG유플러스에서 제공하는 서버 time.nuri.net 아이네트 호스팅에서 제.. 2021. 8. 4. yum이 패키지를 찾지 못할때 yum으로 패키지를 설치할 때 원하는 패키지가 없는 경우가 있다. 이럴 경우 문제점가 되는 경우는 대략 3가지정도 이다. 1. epel-release 미설치 epel은 Extra Packages for Enterprise Linux의 약자이다. 말 그대로 yum 에서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패키지가 아닌 번외 패키지라 할 수 있다. 대표적으로 Apache 웹서버는 기본 패키지이고 Nginx는 epel에 속하는 패키지이다. OS를 설치하고 아무런 작업 없이 yum install nginx 명령어를 날리면 패키지를 찾을 수 없다는 메세지를 만나게 되는데 이 경우가 epel-release를 설치해주지 않은 경우에 만나는 상황이다. 설치는 간단하다. yum install -y epel-release를 설치한 다음 .. 2021. 8. 4. 리눅스마스터 1급 2회차 기출문제 모음 2021년도 시험 준비중 2021. 3. 23. 이전 1 ··· 33 34 35 36 37 38 39 ··· 5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