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485 jattach, java heap dump 뜨기 https://github.com/jattach/jattach GitHub - jattach/jattach: JVM Dynamic Attach utility JVM Dynamic Attach utility. Contribute to jattach/jattach development by creating an account on GitHub. github.com 해당 사이트에서 jattach 파일로 실행중인 process의 pid를 이용해 heap dump를 딸 수 있습니다. 덤프를 따서 메모리를 분석해 얼마나 메모리를 잡아먹는지 파악하고 성능 개선이나 인프라 용량 잡을때 사용됩니다. 메모리 누수를 잡을때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2023. 5. 26. [JAVA] String의 빈값 구분하기 null check 자바로 개발하다보면 String 값을 자주 사용하는데, null 체크나 빈값인지 아닌지 체크하는 기능이 반드시 쓰이는 것 같습니다. 그래서 빈값을 체크하는 기능에 대해 별도로 정리해두고자 합니다. 1. isEmpty() Java 6 이상부터 지원하는 isEmpty() 메소드로 빈값인지 아닌지 구분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null값인 경우 에러가 발생합니다. isEmpty()만 가지고 구분하기엔 한계가 있어 보입니다. 1 2 3 4 5 6 7 String aa = ""; String bb = " "; String cc = null; System.out.println("aa : "+aa.isEmpty()); System.out.println("bb : "+bb.isEmpty()); System.out.pri.. 2023. 5. 24. [Java] String 자르기 substring 기본적으로 자바가 제공하는 String 형식을 분해, 자르는 작업도 필요한 경우가 있다. 그럴때 substring을 쓰면되는데 쓰이는 방식은 크게 2가지다 - str.substring(n) 인덱스 n부터 드러냄 - str.substring(n, m) 인덱스 n부터 m까지 드러냄 가끔 명령어 사용 방법을 해매곤 하는데, 이번기회에 정리해두려한다. 주로 str.substring(n, m) 방식을 사용하는데, 2023. 5. 23. 파일질라 오류 - queue.sqlite3 전송 대기열 로딩 오류 파일질라를 새로운 버전으로 업데이트하면 다음과 같은 에러가 뜨곤 합니다. "전송 대기열을 로딩하는 동안 오류가 발생했습니다. 일부 대기열 항목이 복원되지 않았을 수 있습니다." sqlite3 관련 에러로 확인됩니다. 파일질라에서 이런 툴도 같이 제공하나봅니다. 윈도우 탐색기를 열어 C:\Users\computer\AppData\Roaming\FileZilla 경로를 살펴보면, queue.sqlite3 파일이 있습니다만, 업데이트된 날짜가 한참 이전으로 확인되었습니다. queue.sqlite3 파일을 지운 뒤 filezilla를 다시 실행해보면, queue.sqlite3 이 새로 생기면서 오류창이 안뜨게 됩니다. 뜬금없는 에러였지만, 쉽게 해결 가능합니다. 오늘하루도 포스팅 완료. 매일 이렇게 간단하게 작.. 2023. 5. 22. [JAVA] JVM 분석 도구, 성능 관리 java 개발을 하며 프로젝트를 하는 중 성능 이슈가 생기는 경우가 있습니다. 프로젝트의 규모와 사용되는 비중을 생각한다면 성능 때문에 문제되는 경우가 꽤 있는 것 같습니다. 성능이 개선되려면 어떻게 애햐하는지 정말 모호하고 애매합니다. - 성능이 어떻게 문제가 되는지 확인할 수 있어야 되며 - 성능을 개선하는데 어떤 작업이 필요한지 알아야합니다. 이는 일반적인 개발지식과 별개로 추가적인 성능 대응 기술이 필요한 것 같습니다. 이에 도움이 되는 도구들이 있는데, 도구들에 대해 정리해볼까 합니다. jvmtop jvm-tools jstack jcmd jhsdb OpenJDK tools Conclusion 도구의 구분은 * JVM 진단 도구 - 실시간 진단 도구 (jvm-tools, jcmd, jhsdb) -.. 2023. 5. 17. [JAVA] 기본형(primitive type) - 실수형(float, double) 실수형은 실수를 저장하기 위한 타입으로 float와 double 두 가지가 있으며 각 타입의 변수에 저장할 수 있는 값의 범위는 아래와 같다. 타입 저장 가능한 값의 범위(양수) 정밀도 bit byte float 1.4 x 10(-45승) ~ 3.4 x 10(38승) 7자리 32 4 -1.4 x 10(-45승) ~ -3.4 x 10(38승) double 4.9 x 10(-324승) ~ 1.8 x 10(308승) 15자리 64 8 -4.9 x 10(-324승) ~ -1.8 x 10(308승) 실수형의 선택 기준 만일 7자리 이상의 정밀도가 필요하다면, 변수의 타입을 double로 해야한다. double타입은 float 타입보다 정밀도가 약 2배인, 10진수로 15자리의 정밀도를 가진다. 즉 연산속도의 향상.. 2023. 5. 17. 자바스크립트 자료구조 정리 링크 https://ko.javascript.info/data-types 자료구조와 자료형 ko.javascript.info 잘되어 있는 사이트가 있어 공유해봅니다. 2023. 5. 17. 자료구조론 -- 백석대학교 보호되어 있는 글 입니다. 2023. 5. 17. 이진 트리 & 인진 탐색 트리 (BST: Binary Search Tree) 여러 가지 트리의 모습 트리 구조는 편리한 구조를 전시하는 것 외에 효율적인 탐색을 위해 사용하기도 한다. 수많은 선배 개발자들은 효율적인 탐색을 위해 고민하고 발전시켜 새로운 트리의 모습을 만드는 노력을 했다. 그래서 트리 구조는 가지고 있는 특징에 따라 여러 가지 이름으로 불린다. 많은 트리의 모습 중, 가장 간단하고 많이 사용하는 트리에 대해 알아보자. 👉 많이 사용하는 트리 이진 트리(binary tree) 이진 탐색 트리(binary search tree) 🌲 정 이진 트리 (Full binary tree) 정 이진 트리는 각 노드가 0개 혹은 2개의 자식 노드를 갖는다. 🌲 완전 이진 트리 (Complete binary tree) 완전 이진 트리는 마지막 레벨을 제외한 모든 노드가 가득 차 있.. 2023. 5. 17. 이전 1 ··· 17 18 19 20 21 22 23 ··· 5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