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dhat에서 개발과 시스템 통합, 운영, 관리, 배포를 쉽게 할 수 있도록
여러 사양과 솔루션들의 호환을 제공하는 소프트웨어를 출시했습니다.
큰 기업에선 여럿 사용하고 있다고 하는 OpenShift에 대해 간단히 정리해두려 합니다.
OpenShift란?
- 도커(Docker)와 쿠버네티스(Kubernetes)를 제공하는 컨테이너 애플리케이션 플랫폼
- PaaS 솔루션으로 Infra와 software를 쉽게 제공해줌
- enterprise-grade의 다양한 부가 기능이 추가되어, Web-UI, 소스 빌드 자동화, 라우터 등을 사용 가능하도록 제공
- 57개 이상의 프로젝트 템플릿을 제공하여 즉시 Docker용 애플리케이션을 빌드하여 실행 가능
일반적으로 PaaS 서비스는 잘 나오기 힘듭니다.
입맛에 맞는 비즈니스 환경을 PaaS에서 찾기 힘들며, 총 프로젝트 비용이 더 나오기도 하기 때문입니다.
차라리 Iaas 환경이나 SaaS에서 시작해 개발하는게 더 쉽기 때문이기도 하죠.
redhat에선 이부분을 주목해 PaaS서비스를 제공하는 방향으로 길을 잡아 제공하고 있는데,
편리하게 보이긴 합니다.
이것의 장점은 시스템의 확장, 신규개설이 편리해질 수 있으며, 시간단축 효과도 생깁니다.
흐 컨테이너환경으로 빌드 및 배포하는 기술도 정리해둘 필요가 있겠네요...
시간을 들여 정리해 보기로 합시다...
'IT기술 > 개발툴' 카테고리의 다른 글
[Camel] THROTTLE 사용하기 (0) | 2023.07.04 |
---|---|
[이클립스] lombok 인식 안되는 이유 (2) | 2023.06.13 |
jattach, java heap dump 뜨기 (0) | 2023.05.26 |
파일질라 오류 - queue.sqlite3 전송 대기열 로딩 오류 (0) | 2023.05.22 |
[Gradle] Gradle 의존성 옵션 정리(Compile VS implementation,옵션) (0) | 2023.05.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