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버를 만들거나 CPU를 고를 때 ARM 이란 단어를 본적이 있을 것이다.
ARM CPU를 이야기 하는데, 일반적인 CPU와는 다른 종류의 칩셋으로
드라이버 설치시에도 구분해서 설치해야 한다.
ARM 칩에 대해 정리하는 이유는, 앞으로 주목받는 기술이 될 수 있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4차 산업중 하나인 IOT에서 자주 사용되는 cpu이기도 한데 이는 저전력으로 기동이 가능하다는 큰 장점이 있기 때문이다.
현재 기술의 발전으로 서버에서 사용할 수 있을 정도로 성능이 올라온 상태이며,
기존의 cpu에 버금가는 ARM CPU도 나왔기에 알아두면 좋을 것 같다.
가장 큰 장점은 저전력이다.
전력대비 고성능을 낼 수 있으며, 저전력이다보니 발열이 강하지 않다.
때문에 휴대용기기, 노트북의 CPU로도 채택되어 사용되기도 한다.
ARM 프로세서가 RISC 보다 나은점 (장점)
가변 사이클 명령어 | 메모리에서 연속적으로 레지스터를 송신. 그로 인해 실행 사이클이 고정적이지 않아 코드 집적도가 향상. |
인라인 배럴 시프터 (Inline Barrel Shifter) |
입력 레지스터 중 하나를 미리 처리해주는 하드웨어 컴포넌트. 코어의 성능과 코드 집적도가 향상. |
16비트 Thumb 명령어 | 32비트 고정 길이 명령어와 함께 사용되기에 코드 집적도가 30%가량 향상. |
조건부 실행 | 특정 조건 시에만 실행되기에 분기 명령어 사용을 줄여 성능이 향상. |
DSP 확장 명령어 (DigitalSignalProcessor) |
16 x 16 비트 곱셈 처리를 위한 DSP가 추가되어 수행 속도 향상. |
'IT기술 > CS(ComputerScience)'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일시스템 이란? (0) | 2022.11.27 |
---|---|
컴퓨터 구조지식(CISC, RISC) 시스크 리스크 (0) | 2022.11.27 |
데이터센터의 3요소 (0) | 2022.11.27 |
bottleneck(바틀넥) 현상이란? (0) | 2022.11.27 |
호스팅 서비스/클라우드 서비스 의 비교 (0) | 2022.11.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