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생때 자료구조에 대해 간단하게 배웠는데, 지금와서 보니
코딩테스트를 위해 여러 항목이 추가되며 개선되었다.
때문에 새로이 공부할 필요가 있어 정리하려한다.
자료 구조(data structure)
자료(Data)의 집합의 의미하며, 각 원소들이 논리적으로 정의된 규칙에 의해 나열되며 자료에 대한 처리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자료를 구분하여 표현한 것 이다.
배열, 리스트, 트리, 그래프, 스택, 큐 같은 것들이 자료 구조의 대표적인 예시들이다.
데이터를 가공하고 활용하는 것의 중요성이 늘어나고 있다보니 자료를 더 효율적으로 저장하고, 관리하기 위해 사용하며, 잘 선택된 자료구조는 실행시간을 단축시켜주거나 메모리 용량의 절약을 이끌어 낼 수 있다.
자료구조의 선택 기준
- 자료의 처리 시간
- 자료의 크기
- 자료의 활용 빈도
- 자료의 갱신 정도
- 프로그램의 용이성
위 선택기준을 활용하여 효율적인 것을 선택해 사용하면 된다.
이처럼 자료구조를 별도로 익혀서 이후 각 언어를 공부할 때, 언어의 특성에 대해서만 집중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기에
별도로 자료구조를 공부해두면 좋다고 한다.
'IT기술 > 자료구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료구조 - LinkedList (0) | 2022.09.12 |
---|---|
자료구조 - Array List (0) | 2022.09.12 |
자료구조 - 리스트(list) (0) | 2022.09.12 |
자료구조 - 배열(Array) (0) | 2022.09.12 |
자료구조의 특징 (0) | 2022.09.12 |